지난 주 개봉한 영화 [The Social Network]를 제가 본 것은 개봉 전 주 언론사 초대로 가게 된 시사회 자리였습니다.
집사람과 동행했었고, 영화를 보고 돌아오면서 제 느낌과 아내의 느낌을 서로 나누면서 공감되는 부분을 나누었더랬는데요. 마침 페이스북 내에서 이 영화를 보고 난 감상평을 두고 서로 의견을 나누는 글타래가 있어서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제가 영화를 보고 느꼈던 점들을 약간 긴 댓글로 붙여 드렸는데, 블로그 포스트로 남겨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여기에 퍼다 붙입니다. 영화의 원래 홍보 카피 문구가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엉뚱하게 각색(?)된 것도 흥미롭습니다...
You don't get to 500million friends without making a few enemies.
"5억 명의 ‘친구’가 생긴 순간 진짜 친구들은 적이 되었다!"
( 소수의 적을 만들지 않고서 5억 명의 친구를 얻을 순 없다! )
집사람과 동행했었고, 영화를 보고 돌아오면서 제 느낌과 아내의 느낌을 서로 나누면서 공감되는 부분을 나누었더랬는데요. 마침 페이스북 내에서 이 영화를 보고 난 감상평을 두고 서로 의견을 나누는 글타래가 있어서 떡 본 김에 제사 지낸다고 제가 영화를 보고 느꼈던 점들을 약간 긴 댓글로 붙여 드렸는데, 블로그 포스트로 남겨도 괜찮겠다는 생각이 들어서 여기에 퍼다 붙입니다. 영화의 원래 홍보 카피 문구가 우리나라에서는 다소 엉뚱하게 각색(?)된 것도 흥미롭습니다...
You don't get to 500million friends without making a few enemies.
"5억 명의 ‘친구’가 생긴 순간 진짜 친구들은 적이 되었다!"
( 소수의 적을 만들지 않고서 5억 명의 친구를 얻을 순 없다! )
좀 엉뚱하게 들리실지 모르지만 전 영화가 꼭 어떤 의미가 있어야 한다고 보지 않습니다. 대신 재미가 있으면 됩니다. 헐리우드는 특히 전자보다는 후자를 택합니다. 그게 바로 엔터테인먼트 산업의 1차적인 지향점이고, [소셜 네트워크]는 그 점에서 자칫 지루할 수도 있는 스토리를 나름 스피디한 긴장감을 유지하면서 전개시키는 상당히 고난도의 작품입니다.
그렇다고 교훈이 없는 것만은 아닙니다.
주커버그의 개인적인 심리변화나 미국 사회에서의 성공의 기준과 가치 등을 놓고 평가해볼 수도 있겠지만, 저는 집사람과 함께 보고 나서 두 가지 점에서 인상적이었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한 가지는, 기업에서 주주(이사진) 개인의 도덕성을 문제 삼아서 주식에 대한 권리를 빼앗을 수도 있다는 기업 운영의 원리였습니다. 동업자이자 창업자였던 친구의 주식을 빼앗는 과정이 닭고기를 먹었다는 이유만으로 동물학대를 한 것으로 만들어 버리고(물론 픽션적 요소가 강하겠지만서도...) 자신이 직접 하지는 않았더라도 마약을 한 친구들과 파티를 함께 했다는 이유만으로도 냅스터(숀)는 바로 회사에서 아웃(고 홈) 됩니다.
이는 주주 개인의 도덕적 행위가 기업의 가치를 떨어뜨리거나 손상시킬 경우 이를 기업에 대한 해사 행위로 간주하여 그의 지분이나 지위를 박탈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 운영의 사회적 책임성과 도덕경영(윤리경영)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솔직히 이 점 조금 과장은 되었겠지만 부러웠습니다. (우리나라 같으면 기업의 오너가 그 정도 부도덕한 일을 했단손 치더라도 회사를 쫓겨나기야 하겠습니까!)
다른 하나는, 영화 마지막 엔딩 컷에 나오는 대목인데요... 영화에 주인공으로 참여했던 사람들이 실제로는 어떠했는가를 약간의 자막으로 보여주는데, 영화의 주된 줄거리였던 페이스북의 창업 아이디어가 과연 그들 쌍동이 형제의 것인가에 대한 공방인데, 결국은 그들이 일정 정도의 지분을 받는 조건으로 "입을 다물기로" 했다고 자막이 나옵니다.
이게 의미하는 바는, 단지 한두 달 먼저 아이디어를 제공했다는 사실에 대해서조차도 사업 아이템의 우선권을 인정해주는 미국 사회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정 풍토를 보여주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실제 서비스의 구현은 마크가 해냈지만, 그 서비스의 아이디어가 다른 사람의 것을 인터셉트한 것이라는 혐의점 만으로도 소송의 대상이 되고 결국 법은 그들의 아이디어 가치를 인정해준다는 점이 역시 부러웠습니다.
영화는 보는 이들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평가와 시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것을 사회적 교훈의 관점이나 예술적 감동의 시각에서 보시면 재미있는 영화도 따분하거나 불편할 수 있습니다. 영화는 영화입니다. 재미가 없는 영화는 프로파간다의 도구가 될 수는 있을지 모르지만, 관객은 외면할 수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영화의 영악한 돈벌레 냅스터 창시자로 묘사되는 숀의 배짱도 눈여겨볼만 합니다. 마크랑 이렇게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있지요...
"넌 이번 방학 때 뭐할 거니"
"글쎄 사용자를 100만명쯤 늘릴 계획이야!"
"그래 넌 100만명 늘리렴. 그 동안 나는 2개 대륙을 점령할게!"
이런 게 바로 글로벌 도전 정신 아닐까요??
저는 그나마 페이스북의 창업스토리를 꽤 알고서 본 덕분인지, 영화 보는 내내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일까를 고민하느라 정작 스토리 전개는 그닥 신경쓰지 못했는데, 같이 본 집사람은 아주 재미있었다고 한번쯤 더 보고 싶다더군요...
국내 관객들이 어떻게 평가하든, [소셜 네트워크]는 영화로서 매우 성공한 작품입니다. 제 생각이 그렇다는 게 아니고, 일반적인 평입니다. 아래 라이코스 대표 임정욱 님의 글을 참고로 한 번 보시지요....
http://kr.news.yahoo.com/sports/baseball/view?aid=2010102211441665835
그렇다고 교훈이 없는 것만은 아닙니다.
주커버그의 개인적인 심리변화나 미국 사회에서의 성공의 기준과 가치 등을 놓고 평가해볼 수도 있겠지만, 저는 집사람과 함께 보고 나서 두 가지 점에서 인상적이었다는 데 공감했습니다.
한 가지는, 기업에서 주주(이사진) 개인의 도덕성을 문제 삼아서 주식에 대한 권리를 빼앗을 수도 있다는 기업 운영의 원리였습니다. 동업자이자 창업자였던 친구의 주식을 빼앗는 과정이 닭고기를 먹었다는 이유만으로 동물학대를 한 것으로 만들어 버리고(물론 픽션적 요소가 강하겠지만서도...) 자신이 직접 하지는 않았더라도 마약을 한 친구들과 파티를 함께 했다는 이유만으로도 냅스터(숀)는 바로 회사에서 아웃(고 홈) 됩니다.
이는 주주 개인의 도덕적 행위가 기업의 가치를 떨어뜨리거나 손상시킬 경우 이를 기업에 대한 해사 행위로 간주하여 그의 지분이나 지위를 박탈할 수 있다는 점에서 기업 운영의 사회적 책임성과 도덕경영(윤리경영)의 중요성을 보여줍니다. 솔직히 이 점 조금 과장은 되었겠지만 부러웠습니다. (우리나라 같으면 기업의 오너가 그 정도 부도덕한 일을 했단손 치더라도 회사를 쫓겨나기야 하겠습니까!)
다른 하나는, 영화 마지막 엔딩 컷에 나오는 대목인데요... 영화에 주인공으로 참여했던 사람들이 실제로는 어떠했는가를 약간의 자막으로 보여주는데, 영화의 주된 줄거리였던 페이스북의 창업 아이디어가 과연 그들 쌍동이 형제의 것인가에 대한 공방인데, 결국은 그들이 일정 정도의 지분을 받는 조건으로 "입을 다물기로" 했다고 자막이 나옵니다.
이게 의미하는 바는, 단지 한두 달 먼저 아이디어를 제공했다는 사실에 대해서조차도 사업 아이템의 우선권을 인정해주는 미국 사회의 지적재산권에 대한 인정 풍토를 보여주는 게 아닐까 싶습니다. 실제 서비스의 구현은 마크가 해냈지만, 그 서비스의 아이디어가 다른 사람의 것을 인터셉트한 것이라는 혐의점 만으로도 소송의 대상이 되고 결국 법은 그들의 아이디어 가치를 인정해준다는 점이 역시 부러웠습니다.
영화는 보는 이들에 따라서 매우 다양한 평가와 시각이 있을 수 있습니다. 그것을 사회적 교훈의 관점이나 예술적 감동의 시각에서 보시면 재미있는 영화도 따분하거나 불편할 수 있습니다. 영화는 영화입니다. 재미가 없는 영화는 프로파간다의 도구가 될 수는 있을지 모르지만, 관객은 외면할 수 있습니다.
그런 면에서 보자면, 영화의 영악한 돈벌레 냅스터 창시자로 묘사되는 숀의 배짱도 눈여겨볼만 합니다. 마크랑 이렇게 대화를 나누는 장면이 있지요...
"넌 이번 방학 때 뭐할 거니"
"글쎄 사용자를 100만명쯤 늘릴 계획이야!"
"그래 넌 100만명 늘리렴. 그 동안 나는 2개 대륙을 점령할게!"
이런 게 바로 글로벌 도전 정신 아닐까요??
저는 그나마 페이스북의 창업스토리를 꽤 알고서 본 덕분인지, 영화 보는 내내 어디까지가 사실이고, 어디까지가 허구일까를 고민하느라 정작 스토리 전개는 그닥 신경쓰지 못했는데, 같이 본 집사람은 아주 재미있었다고 한번쯤 더 보고 싶다더군요...
국내 관객들이 어떻게 평가하든, [소셜 네트워크]는 영화로서 매우 성공한 작품입니다. 제 생각이 그렇다는 게 아니고, 일반적인 평입니다. 아래 라이코스 대표 임정욱 님의 글을 참고로 한 번 보시지요....
http://kr.news.yahoo.com/s
'소셜미디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12.03.11] 4.11 총선, 앞으로 한 달! 정치와 친구를 다시 생각한다... (3) | 2012.03.11 |
---|---|
[에버노트] 트위터랑 통합시켜 사용하기 (0) | 2011.10.12 |
[페이스북] 친구맺기 5계명, 이별을 준비하라! (0) | 2010.06.26 |
[페이스북] 한국 사용자수 100만명 돌파! (0) | 2010.06.23 |
[칼럼] 소셜미디어 진화의 배경과 기술적 의미 (0) | 2010.06.13 |